Blog

2025년 08월 28일

General.East.K

headstock_front

American FAT Strat Texas Special 기타

학창시절에 통기타를 연주하다가 일렉기타를 알게 되어 얼마 안되는 용돈을 모아서 구입했던 기타가 Fender 카피 모델이었다. 낙원 상가에 가서 소위 말하는 눈탱이를 맞고 구입했는데 헤드에 Tanglewood 라고 써 있던 카피 모델이었다. 일렉기타를 치는 사람들의 많은 수가 Rock 음악을 듣고 시작을 하는데 싱글픽업 3개가 달린 Fender 혹은 그 카피 모델로는 그 풍성한 드라이브 사운드를 내기 힘들다. 하지만 펜더 카피 모델로 시작을 해 몸에 익숙해진 만큼 펜더형 기타를 버리기 힘들었다. 군대를 다녀와서 리어픽업이 험버커인 펜더를 우연히 알게되었고 이를 구입하고 여태 소장하고 있다. 당시 펜더는 USA – Japan – Mexico 순으로 질을 논했는데 이 기타는 미국산이다. 이 기타는 아마도 스탠다드 라인으로 보급형에 기반한 튜닝버전

2025년 06월 01일

General.East.K

방어기제

나의 주요 방어기제를 파악하고 변화를 시도해보자.

◎ 방어기제 파악, 변화 4단계 1단계: 인지 (Awareness) 목표: 개인이 자신의 방어기제를 인식하게 함 방법: 상담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 패턴, 회피, 왜곡된 사고 등을 관찰 “지금 어떤 감정이 드시나요?”처럼 감정에 초점을 맞추는 질문 활용 자기성찰 일지, 감정 추적표 등을 활용해 감정-행동 간의 연관성 파악 ▶ 예: 부정, 투사, 합리화 등의 방어를 상담 장면에서 알아차림 2단계: 이해 (Understanding) 목표: 방어기제의 기능과 기원을 이해하게 함 방법: 방어기제가 언제, 왜 생겼는지 탐색 (과거 경험과 연결) 방어가 개인을 어떻게 보호해 왔는지 설명 감정 대신 방어가 나타나는 상황 분석 ▶ 예: “비난을 피하기 위해 늘 남 탓을 하게 되었군요. 어릴 때 꾸지람을 자주 들으셨군요.” 3단계: 도전

2025년 05월 31일

General.East.K

취소

방어기제 – 10. ‘취소 (Undoing)’의 개념과 사례

1. ‘취소(Undoing)’란 무엇인가? 취소는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느끼거나 행한 공격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행동을 무효화하려는 시도입니다.이는 죄책감, 불안을 줄이기 위해 심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어기제입니다. ■ 정의 (프로이트 계통): “죄책감을 수반하는 무의식적 충동을 반대로 행동하거나 특정 행동으로 지워내려는 심리 작용” 2. 취소의 작동 원리 단계 설명 공격적/금기적 충동 발생 마음속에 죄책감이 유발되는 생각(예: 누군가를 미워함) 발생 불안 유발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난 나쁜 사람인가?” 같은 불안 심리적 취소 시도 해당 생각이나 행동을 없애려는 ‘반대 행동’ 또는 상징적 보상 발생 불안 완화 자기 위안, 도덕적 균형 확보 3. 일상과 임상에서의 구체적인 사례 ① 어린아이의 행동 사례: 동생에게 질투심을 느낀 아이가 동생 장난감을 숨김 → 죄책감을

2025년 05월 30일

General.East.K

동일시

방어기제 – 9. ‘동일시 (Identification)’의 개념과 사례

1. 동일시(Identification)란 무엇인가? 동일시는 개인이 타인의 특성, 감정, 가치, 태도, 행동 등을 자기 것으로 내면화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 핵심: “타인을 모방해 자신을 강화하거나 위협을 줄이는 무의식적 심리작용” 2. 동일시의 심리적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외부 대상 인지 부모, 교사, 친구, 유명인 등 자신보다 강력하거나 이상적인 존재를 인식 감정적 연대 사랑, 존경, 두려움, 공포 등의 감정이 형성됨 내면화 그 대상의 행동, 신념, 태도를 ‘내 것’처럼 흡수함 자아 통합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 구조 일부가 됨 3. 임상 및 일상 사례 ① 어린이의 부모 동일시 사례: 아버지가 경찰인 아이가 장난감 총을 들고 “범인을 체포하러 간다”며 놀이 분석: 부모의 힘 있고 보호적인 역할을 동일시하여,

2025년 05월 29일

General.East.K

승화

방어기제 – 8. ‘승화 (Sublimation)’의 개념과 사례

1. 승화(Sublimation)란? 승화란, 사회적으로 용납되기 어렵거나 본능적인 충동(예: 공격성, 성욕, 분노 등)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이다. ※ 핵심 요약: “욕구나 감정을 파괴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는 것”예: 분노 → 복싱, 성적 욕구 → 예술적 창작 2. 승화의 심리적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충동 발생 공격성, 성욕, 분노, 열등감 등 본능적 감정이 생김 직접 표현 어려움 충동을 그대로 표현하면 사회적 비난이나 불이익 발생 전환 감정 에너지를 창의적·사회적으로 유용한 방식으로 재구성 결과 자아 강화, 생산성 증가, 사회적 승인 획득 3. 일상 속 승화의 구체적 사례 ① 분노 → 운동 상황: 직장에서 억울한 대우를 받은 사람이 헬스장에서 격렬하게 운동하며 스트레스를 해소 분석:

2025년 05월 28일

General.East.K

대치

방어기제 – 7. ‘대치 (Displacement)’의 개념과 사례

1. 대치(Displacement)란? 대치는 받아들이기 어렵거나 위험한 감정(특히 분노, 욕구 등)을 직접적인 대상에게 표현하지 못하고, 더 안전하거나 수용 가능한 다른 대상으로 감정을 옮기는 것. ▶ 즉, 감정을 원래의 대상에게 직접 표현하면 위험하거나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위협적인 ‘대체 대상’에게 감정을 전이하는 무의식적 방어기제이다. 2. 대치의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충동 발생 분노, 성적 욕망, 불안 등의 감정이 특정 대상에게 생김 억압/차단 해당 감정을 직접 표현하면 불이익(위험, 수치심, 처벌)이 예상됨 대치 감정을 덜 위험한 대상에게 옮김 심리적 긴장 완화 간접 표현으로 일시적 해소 3. 대치의 일상적 사례 □ 사례 1: 상사에게 받은 스트레스를 배우자에게 풀기 상황: 직장에서 상사에게 부당한 질책을 받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