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2025년 06월 01일

General.East.K

방어기제

나의 주요 방어기제를 파악하고 변화를 시도해보자.

◎ 방어기제 파악, 변화 4단계 1단계: 인지 (Awareness) 목표: 개인이 자신의 방어기제를 인식하게 함 방법: 상담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 패턴, 회피, 왜곡된 사고 등을 관찰 “지금 어떤 감정이 드시나요?”처럼 감정에 초점을 맞추는 질문 활용 자기성찰 일지, 감정 추적표 등을 활용해 감정-행동 간의 연관성 파악 ▶ 예: 부정, 투사, 합리화 등의 방어를 상담 장면에서 알아차림 2단계: 이해 (Understanding) 목표: 방어기제의 기능과 기원을 이해하게 함 방법: 방어기제가 언제, 왜 생겼는지 탐색 (과거 경험과 연결) 방어가 개인을 어떻게 보호해 왔는지 설명 감정 대신 방어가 나타나는 상황 분석 ▶ 예: “비난을 피하기 위해 늘 남 탓을 하게 되었군요. 어릴 때 꾸지람을 자주 들으셨군요.” 3단계: 도전

2025년 05월 31일

General.East.K

취소

방어기제 – 10. ‘취소 (Undoing)’의 개념과 사례

1. ‘취소(Undoing)’란 무엇인가? 취소는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느끼거나 행한 공격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행동을 무효화하려는 시도입니다.이는 죄책감, 불안을 줄이기 위해 심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어기제입니다. ■ 정의 (프로이트 계통): “죄책감을 수반하는 무의식적 충동을 반대로 행동하거나 특정 행동으로 지워내려는 심리 작용” 2. 취소의 작동 원리 단계 설명 공격적/금기적 충동 발생 마음속에 죄책감이 유발되는 생각(예: 누군가를 미워함) 발생 불안 유발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난 나쁜 사람인가?” 같은 불안 심리적 취소 시도 해당 생각이나 행동을 없애려는 ‘반대 행동’ 또는 상징적 보상 발생 불안 완화 자기 위안, 도덕적 균형 확보 3. 일상과 임상에서의 구체적인 사례 ① 어린아이의 행동 사례: 동생에게 질투심을 느낀 아이가 동생 장난감을 숨김 → 죄책감을

2025년 05월 30일

General.East.K

동일시

방어기제 – 9. ‘동일시 (Identification)’의 개념과 사례

1. 동일시(Identification)란 무엇인가? 동일시는 개인이 타인의 특성, 감정, 가치, 태도, 행동 등을 자기 것으로 내면화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입니다. ※ 핵심: “타인을 모방해 자신을 강화하거나 위협을 줄이는 무의식적 심리작용” 2. 동일시의 심리적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외부 대상 인지 부모, 교사, 친구, 유명인 등 자신보다 강력하거나 이상적인 존재를 인식 감정적 연대 사랑, 존경, 두려움, 공포 등의 감정이 형성됨 내면화 그 대상의 행동, 신념, 태도를 ‘내 것’처럼 흡수함 자아 통합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 구조 일부가 됨 3. 임상 및 일상 사례 ① 어린이의 부모 동일시 사례: 아버지가 경찰인 아이가 장난감 총을 들고 “범인을 체포하러 간다”며 놀이 분석: 부모의 힘 있고 보호적인 역할을 동일시하여,

2025년 05월 29일

General.East.K

승화

방어기제 – 8. ‘승화 (Sublimation)’의 개념과 사례

1. 승화(Sublimation)란? 승화란, 사회적으로 용납되기 어렵거나 본능적인 충동(예: 공격성, 성욕, 분노 등)을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환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이다. ※ 핵심 요약: “욕구나 감정을 파괴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는 것”예: 분노 → 복싱, 성적 욕구 → 예술적 창작 2. 승화의 심리적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충동 발생 공격성, 성욕, 분노, 열등감 등 본능적 감정이 생김 직접 표현 어려움 충동을 그대로 표현하면 사회적 비난이나 불이익 발생 전환 감정 에너지를 창의적·사회적으로 유용한 방식으로 재구성 결과 자아 강화, 생산성 증가, 사회적 승인 획득 3. 일상 속 승화의 구체적 사례 ① 분노 → 운동 상황: 직장에서 억울한 대우를 받은 사람이 헬스장에서 격렬하게 운동하며 스트레스를 해소 분석:

2025년 05월 28일

General.East.K

대치

방어기제 – 7. ‘대치 (Displacement)’의 개념과 사례

1. 대치(Displacement)란? 대치는 받아들이기 어렵거나 위험한 감정(특히 분노, 욕구 등)을 직접적인 대상에게 표현하지 못하고, 더 안전하거나 수용 가능한 다른 대상으로 감정을 옮기는 것. ▶ 즉, 감정을 원래의 대상에게 직접 표현하면 위험하거나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위협적인 ‘대체 대상’에게 감정을 전이하는 무의식적 방어기제이다. 2. 대치의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충동 발생 분노, 성적 욕망, 불안 등의 감정이 특정 대상에게 생김 억압/차단 해당 감정을 직접 표현하면 불이익(위험, 수치심, 처벌)이 예상됨 대치 감정을 덜 위험한 대상에게 옮김 심리적 긴장 완화 간접 표현으로 일시적 해소 3. 대치의 일상적 사례 □ 사례 1: 상사에게 받은 스트레스를 배우자에게 풀기 상황: 직장에서 상사에게 부당한 질책을 받은

2025년 05월 27일

General.East.K

퇴행

방어기제 – 6. ‘퇴행(Regression)’의 개념과 사례

1. 퇴행(Regression)이란? 퇴행은 개인이 스트레스, 불안, 트라우마 등의 심리적 압박을 받을 때, 이전의 발달 수준(어린 시절, 미성숙한 단계)의 행동양식이나 사고방식으로 후퇴하는 방어기제입니다. ▶ 무의식적으로 현재 상황을 감당하기 어려워서, 더 단순하고 익숙한 방식으로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적 전략입니다. 2. 퇴행의 작동 원리 단계 설명 스트레스 감당하기 어려운 외적 상황 (예: 상실, 이별, 불안) 정서적 불안정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 감정 조절 실패 퇴행 발생 무의식적으로 어릴 적 안전했던 행동 패턴으로 회귀 안정감 확보 어린 시절 방식이 현재 불안을 ‘일시적으로’ 완화시켜 줌 3. 퇴행은 ‘발달 단계로의 후퇴’ 퇴행은 특히 정신분석학적 발달 이론과 연결됩니다. 발달 단계 퇴행적 행동 예시 구강기 (0~1세) 손가락 빨기, 폭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