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장파장
Logic

논리 오류 – 피장파장의 오류 (Tu Quoque Fallacy)




피장파장의 오류

 

피장파장의 오류(Tu Quoque Fallacy)는 상대방의 주장이나 비판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대신, 상대방도 같은 잘못을 저질렀다고 지적함으로써 논점을 흐리는 오류이다.

라틴어 “Tu Quoque”는 “너도 마찬가지야”라는 뜻으로, 이 오류는 논쟁에서 흔히 사용되는 회피 전략 중 하나다.

이 오류는 상대방의 일관성을 문제 삼아 논의를 무력화하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흡연은 건강에 해롭다”고 주장했을 때, 상대방이 “너도 담배 피우잖아”라고 반박한다면, 이는 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본래의 주장에 대한 논리적 반박이 아니다.

 

1. 피장파장의 오류의 기본 개념

이 오류는 보통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A가 X라는 주장을 한다.

B가 A에게 X와 같은 행동을 한 적이 있음을 지적한다.

B는 A의 주장을 기각하거나 무효화하려 한다.

 

그러나 A가 X와 같은 행동을 했든 안 했든, X의 진실 여부와는 상관이 없다.

 

(1) 주요 특징

  • 논리적 반박이 아니라 상대방의 행동을 문제 삼아 논점을 흐린다.
  • 상대방이 위선적이라 하더라도, 그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 흔히 도덕적, 윤리적 논쟁에서 자주 사용된다.

 

2. 피장파장의 오류의 대표적인 예시

(1) 일상적인 대화에서의 예시

A: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야 해.”

B: “근데 너는 스타벅스에서 플라스틱 컵으로 커피 마시던데?”

→ A가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했다고 해서 환경 보호의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2) 정치에서의 예시

정치인 A: “우리 당의 부정부패를 뿌리 뽑겠습니다!”

정치인 B: “당신들 당도 과거에 똑같은 부정부패 사건을 저질렀잖아요!”

→ 과거의 잘못이 현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필요성을 없애지는 않는다.

 

(3) 부모와 자식 간 대화에서의 예시

부모: “너는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해.”

자식: “근데 엄마는 학창시절에 공부 열심히 안 했잖아!”

→ 부모가 과거에 공부를 안 했든 했든, 공부해야 한다는 조언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다.

 

(4) 법적 논쟁에서의 예시

판사: “당신은 교통법규를 어겼습니다.”

피고: “경찰들도 신호 위반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 경찰이 법을 어겼다고 해서, 피고의 위반이 정당화되지는 않는다.

 

 

3. 피장파장의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1) 방어 기제 (Defensive Mechanism)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 상대방의 허점을 찾아 반격하는 경향이 있다.

 

(2) 도덕적 정당화 (Moral Justification)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상대방도 똑같이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3) 논점을 회피하려는 심리 (Avoidance of Argument)

실제 쟁점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어렵거나 불리할 때, 논점을 흐려서 반격하려 한다.

 




 

4. 피장파장의 오류를 피하는 방법

(1) 주장과 사람을 분리하기

상대방의 행동과 주장 자체를 분리하여 논리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흡연자가 “흡연은 건강에 해롭다”고 말했더라도, 흡연의 해로움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2) 논점에 집중하기

상대방의 과거 행동이 아니라, 논의의 핵심 주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예를 들어, 환경 보호에 대해 토론할 때 “너도 플라스틱 쓰잖아”라고 반박하기보다, 환경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다.

 

(3) 일관성을 요구하는 것이 논리적 반박이 될 수 있는 경우 구별하기

피장파장의 오류는 논점을 흐리는 것이지만, 일관성을 요구하는 것이 정당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정치인이 선거 전에 “증세는 절대 없다”고 주장했지만, 당선 후에 세금을 올린다면, 이를 지적하는 것은 피장파장의 오류가 아니라 일관성의 문제로 논의할 수 있다.

 

5. 결론

피장파장의 오류는 논쟁에서 상대방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대신, 상대방도 같은 행동을 했다는 점을 지적하여 논점을 흐리는 오류이다.

이 오류는 일상 대화, 정치, 법률, 윤리적 논쟁 등에서 자주 발생하며, 논리적 토론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이 오류를 피하려면 상대방의 주장을 그 사람의 행동과 분리하여 평가하고, 논의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