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for author: General.East.K

2025년 05월 19일

General.East.K

히스테리아

히스테리아(Hysteria)의 유래와 사례

1. 히스테리아의 정의 □ 기본 개념 히스테리아는 전통적으로 의학적 원인 없이 신체적·감정적 증상이 발현되는 상태를 의미했습니다. 환자는 시각장애, 마비, 발작 등 신체 증상을 보이지만, 의학적으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 2. 역사적 기원 □ 고대 그리스 히스테리아(hysteria)는 그리스어 ‘hystera’(자궁)에서 유래. 히포크라테스는 “자궁이 몸 안을 떠돌며 문제를 일으킨다”는 이론을 주장.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질환으로 간주됨. □ 중세 히스테리아는 때때로 악령 들림, 마녀사냥과 연결됨. 여성의 감정적 불안정성과 이상 행동이 악령 또는 죄로 해석됨. □ 19세기: 정신의학적 접근 장 마르탱 샤르코(Charcot): 히스테리아를 뇌의 기능 이상으로 봄. 최면술을 치료에 활용. 지그문트 프로이트(Freud): 히스테리아는 무의식적 갈등의 결과라고 분석. 대표 사례: “안나 O”, 히스테리 증상이 무의식적 트라우마와 연결됨. 히스테리아를

2025년 05월 16일

General.East.K

판의 공포

판의 공포(Fear Pan) 에 대한 유래와 사례

1. 신화적 배경: ‘판(Pan)’ 신과 공포 ■ 누구인가? – 판(Pan) 판(Pan)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연과 목축의 신, 들판과 목자들의 수호신입니다.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염소(사티로스의 모습)를 하고 있으며, 피리를 잘 불고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묘사됩니다. ■ “판의 공포”란? 판은 때때로 숲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 사람이나 동물을 놀라게 하는 존재였습니다. 그 공포는 너무 강하고 충격적이어서 사람들이 정신을 잃거나 공포에 질려 도망치게 만드는 상태였죠. 이로부터 “Panic(패닉, 공황)”이라는 단어가 유래했습니다. ※ 즉, “판의 공포(Panic Fear)”는 갑작스럽고 설명할 수 없는 극심한 공포 상태를 의미합니다. 2. 심리학적 의미: “공황 상태(Panic State)”의 시초 현대 심리학에서의 공황(panic)은 갑작스럽고 압도적인 불안, 두려움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판의 공포”는 공황장애(panic disorder)의 어원적, 개념적 기원이 됩니다.

2025년 05월 15일

General.East.K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Pygmalion) 효과에 대한 유래와 사례

○ 피그말리온 효과란? 정의 개인에 대한 타인의 기대가 그 사람의 실제 성과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현상.즉, “누군가가 나에게 기대를 하면 그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 효과는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의 일종입니다. ○ 이름의 유래: 피그말리온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피그말리온(Pygmalion)은 자신이 조각한 여성 조각상(갈라테이아)을 사랑하게 되고, 그 사랑과 기대에 의해 조각상이 실제 여인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 강력한 기대와 믿음이 현실을 바꾼다는 상징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 심리학적 기원 ▶ 로젠탈과 제이컵슨 실험 (1968)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Rosenthal)과 교사 레노어 제이컵슨(Jacobson)이 초등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무작위로 선정된 학생들을 교사에게 “앞으로 성적이 급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우수아”라고 소개 실제로 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상승함→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2025년 05월 14일

General.East.K

타나토스

타나토스(Thanatos)의 유래와 사례

1. 타나토스란? 정의 타나토스(Θάνατος, Thanatos)는 원래 그리스 신화의 죽음의 신이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인간의 파괴 본능 / 죽음 충동(death drive)을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됨. 2. 신화 속 타나토스 그리스어 “θάνατος” = 죽음 타나토스는 밤의 여신 뉙스(Nyx)의 아들로, 형제는 히프노스(Hypnos, 수면의 신) 죽음을 상징하지만, 잔혹한 전쟁의 아레스와는 달리 ‘조용하고 차가운 죽음’을 담당. 특징: 칼이나 검을 들고 나타나며, 생명의 실을 끊는 존재. 영혼을 하데스(저승)로 인도함. 3. 프로이트의 타나토스 – 정신분석학적 개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920년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타나토스를 처음 이론화 함. 프로이트의 두 본능 이론 본능 설명 대응 신화 에로스(Eros) 생명 본능: 성욕, 창조, 사랑, 결합의 힘 사랑의 신 에로스 타나토스(Thanatos) 죽음 본능:

2025년 05월 13일

General.East.K

에로스

에로스(Eros)의 유래와 사례

  1. 에로스란 무엇인가? 에로스(Eros)는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사랑과 욕망의 신을 의미하며,심리학과 철학에서는 사랑, 생명력, 창조적 충동, 성적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2. 신화 속 에로스 ■ 이름: 에로스 (Ἔρως, Eros) 로마 신화에서 동일한 신은 큐피드(Cupid)라 불림. 어머니: 아프로디테(미의 여신) 상징: 활과 화살 → 맞으면 사랑에 빠짐 ■ 특징 에로스는 처음엔 원초적 창조신으로 등장하다가, 후대엔 장난기 많고 사랑을 조종하는 소년신의 이미지로 변화함. ■ 대표 이야기: 에로스와 프시케 에로스는 인간 여인 프시케(Psyche)와 사랑에 빠짐. 프시케가 그의 모습을 몰래 보자 에로스는 떠남. 프시케는 시련 끝에 신이 되어 에로스와 재결합. ◇ 의미: 사랑은 욕망 + 고통 + 성장을 통해 완성됨. 3. 심리학 속 에로스 – 프로이트의

2025년 05월 12일

General.East.K

엘렉트라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의 정의와 사례

  1. 엘렉트라 콤플렉스란?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는 여아가 무의식적으로 아버지를 성적으로 사랑하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는 심리 갈등. 이 개념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여성 버전으로 이해되며, 칼 융(Carl Jung)이 1913년에 처음 사용함. 프로이트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여성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간주했으며 이론적으로 동의하지 않음. 2. 신화적 기원 – 엘렉트라 이야기 엘렉트라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아가멤논과 클리타임네스트라의 딸. 어머니가 아버지를 살해하자, 엘렉트라는 오빠 오레스테스와 함께 어머니를 죽여 복수. 여기서 중요한 건: 엘렉트라는 아버지에 대한 충성심과 어머니에 대한 적개심을 강하게 표현한 인물. ◆ 심리학적 상징: 아버지를 향한 감정적 집중 + 어머니에 대한 경쟁심 3. 발생 시기 및 배경 나이대 단계 설명 3~6세 남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