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for category: Logic

2025년 04월 19일

General.East.K

rope cut

논리 오류 – 매듭 자르기 오류 (Knot-Cutting Fallacy)

    매듭 자르기 오류(Knot-Cutting Fallacy)는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복잡한 문제나 논쟁을 성급하게 단순화하여 무시하거나, 제대로 된 논의 없이 억지로 해결하려 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오류는 흔히 “그냥 그런 거야”, “더 이상 논쟁할 필요 없어”, “이 문제는 너무 복잡하니까 그냥 이렇게 하자” 등의 태도로 표현되며, 본질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를 회피하는 성격을 가진다. 이 오류는 고대 그리스의 전설에서 유래된 표현이다. 전설에 따르면, 고르디우스(Gordius)라는 왕이 매우 복잡하게 얽힌 매듭을 만들었는데, 누구든 이 매듭을 푸는 자가 아시아를 정복할 것이라는 예언이 있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매듭을 직접 풀려는 대신, 칼로 단번에 잘라버림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고 전해진다. 매듭 자르기 오류는 이러한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2025년 04월 18일

General.East.K

논리 오류

상대방을 설득하는 방법 – 논리 오류 저지르지 않기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말은 길고 주장도 강한데 이상하게 설득력이 전혀 없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논리 오류, 즉 잘못된 추론 방식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겉보기에는 타당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핵심이 빠져있거나 논리적 비약이 일어나 설득력을 떨어뜨리는 것이죠. 논리 오류(Fallacy)는 사고의 흐름에서 생기는 잘못된 추론입니다. 이 오류는 무심코 대화에 스며들기 쉽고, 특히 감정이 앞서는 주제에서는 자주 등장합니다. 문제는 이런 오류가 설득에 오히려 독이 된다는 점입니다. 왜 그럴까요?   첫째, 논리 오류는 신뢰를 떨어뜨립니다. 논리적 흐름이 맞지 않거나 사실 관계가 왜곡된 주장을 들으면, 듣는 사람은 그 말 자체보다 말하는 사람에 대한 신뢰를 먼저 잃게 됩니다. 예를 들어, “그

2025년 04월 17일

General.East.K

분해의 오류

논리 오류 – 분해의 오류 (Fallacy of Division)

  분해의 오류(Fallacy of Division)란, 전체가 가진 속성이 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잘못 추론하는 논리적 오류를 의미한다. 이는 전체적인 특성이 반드시 개별 구성 요소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잘못된 가정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릴 때 발생한다.   분해의 오류의 개념과 구조 분해의 오류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 구조를 가진다.   A 전체는 X라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A의 개별 구성 요소들도 X라는 특성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전체의 특성이 개별 부분에도 반드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개별 요소는 전체 속성과 다를 수 있으며, 이를 무시하고 결론을 내리면 오류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 축구팀은 세계 최고의 팀이다. 그러므로 이 팀의 모든 선수들도 세계 최고 수준의

2025년 04월 16일

General.East.K

논리적 추론

논리적 추론의 방법 – 연역, 귀납, 유추

  논리적 추론은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타당한 결론을 도출하는 사고 과정이며, 철학, 수학, 과학,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추론의 방법은 크게 연역적 추론, 귀납적 추론, 그리고 유추적 추론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다루며, 특정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된다.   연역적 추론 (Deductive Reasoning) 연역은 보편적인 원리나 법칙에서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이다.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삼단논법이다.   예를 들어, 모든 인간은 죽는다. (대전제)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전제)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결론)   이러한 연역적 추론의 강점은 전제가 참이고 논리 구조가 타당하다면, 반드시 참인 결론이 도출된다는 점이다. 이는 수학적 증명이나 철학적 논증에서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현실의

2025년 04월 15일

General.East.K

토론

토론에서 논리적으로 이기는 법

  토론은 단순히 말을 많이 하는 싸움이 아닙니다. 상대방을 깎아내리는 것도 아니고, 소리를 크게 낸다고 이기는 것도 아닙니다. 진짜로 ‘이기는 토론’이란, 상대를 논리적으로 설득해 자신의 주장에 더 많은 공감을 얻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감정보다 논리, 직감보다 구조화된 사고가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논리적으로 강한 토론을 펼칠 수 있을까요?   1. 주장의 핵심을 명확하게 세워라 토론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은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가’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입니다. 핵심 주장이 흐릿하거나 여러 개일 경우, 듣는 사람은 무엇에 동의하거나 반대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워집니다. 그러면 설득의 힘이 약해지죠.   ❌ 예: “이 정책은 좀 문제가 있고, 세금도 너무 높고, 요즘 경기도 안 좋은데…” ✅

2025년 04월 10일

General.East.K

거짓 딜레마

논리 오류 – 거짓 딜레마의 오류 (False Dilemma Fallacy)

  거짓 딜레마(False Dilemma)는 선택지를 인위적으로 두 개만 제시하여 다른 가능성을 배제하는 논리적 오류이다. 이 오류는 흑백 논리(Black-or-White Thinking)라고도 하며,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여 왜곡하는 방식으로 논쟁에서 자주 사용된다. 거짓 딜레마는 흔히 정치적 토론, 윤리적 문제, 사회적 논쟁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너는 우리 편이 아니면 적이다”라는 주장은 다양한 입장이 존재할 수 있는 상황에서 극단적인 두 가지 선택지만 남기는 전형적인 거짓 딜레마의 사례이다.   1. 거짓 딜레마 오류의 정의 및 구조 거짓 딜레마의 논리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또는 B 중 하나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A를 부정하면, B만 남게 된다. 따라서 B가 진실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C, D, E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