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for category: Logic

2025년 04월 09일

General.East.K

parts

논리 오류 – 결합의 오류 (Fallacy of Composition)

    결합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란, 개별적인 부분들이 가지고 있는 성질이 전체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라고 잘못 추론하는 논리적 오류를 의미한다. 즉, “부분이 그러하므로 전체도 그러할 것이다.”라는 잘못된 전제를 바탕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오류이다.   이 오류는 철학, 경제학, 과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쉽게 빠질 수 있다. 하지만 개별적인 요소의 특성이 반드시 전체에도 적용된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는 종종 오류를 초래한다.   결합의 오류의 개념과 논리 구조 결합의 오류는 다음과 같은 논리 구조를 가진다.   A의 개별 요소들은 X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A 전체도 X라는 속성을 가질 것이다.   이 논리의 문제점은 부분의

2025년 04월 08일

General.East.K

false

논리 오류 – 거짓 원인 오류 (False Cause Fallacy)

  거짓 원인 오류(False Cause Fallacy)는 인과관계를 잘못 추론하는 논리적 오류의 한 형태로, 두 사건이 단순히 시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원인이라고 잘못 결론 내리는 오류를 말한다. 이 오류는 일상생활, 정치, 과학, 경제, 건강,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잘못된 의사결정이나 미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거짓 원인 오류는 일반적으로 “이전 사건이 이후 사건의 원인이다”라고 가정하는데, 이는 반드시 참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빨간 셔츠를 입고 축구 경기를 봤더니 우리 팀이 이겼다. 따라서 빨간 셔츠를 입으면 우리 팀이 이긴다.”라는 주장은 거짓 원인 오류의 대표적인 예이다.   거짓 원인 오류의 유형 거짓 원인 오류는

2025년 04월 07일

General.East.K

tradition

논리 오류 –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Appeal to Tradition Fallacy)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Appeal to Tradition, Argumentum ad Antiquitatem)란, 어떤 주장이나 행동이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는 이유만으로 정당하다고 주장하는 오류를 의미한다. 이 오류는 논리적으로 그 주장이 옳거나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지 않고, 단순히 “예전부터 해오던 것이니까 옳다“는 논리를 따른다.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의 기본 개념 이 오류는 다음과 같은 논리 구조를 가진다. A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이다. 따라서 A는 옳고,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래된 것이 반드시 옳다는 보장은 없다. 단순히 어떤 것이 과거에 행해졌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바람직하거나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잘못된 논리적 비약이다.   예를 들어, “우리 조상들이 이렇게 해왔으니, 이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 방식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2025년 04월 06일

General.East.K

성급한 일반화

논리 오류 –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Hasty Generalization Fallacy)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Hasty Generalization)는 제한된 사례나 불충분한 증거를 바탕으로 너무 빨리 일반적인 결론을 내리는 논리적 오류이다. 한두 개의 사례를 보고 전체가 그러할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이 특징이며, 일상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다.   성급한 일반화 오류의 개념과 구조 성급한 일반화 오류는 보통 다음과 같은 논리적 구조를 가진다. A라는 사례 몇 개를 관찰했다. 그 사례들에서 특정한 특성을 발견했다. 따라서, A에 속하는 모든 것(전체 집단)이 그 특성을 가질 것이라고 결론 내린다. 그러나 소수의 사례만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논리적 비약이다. 전체를 대표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된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나는 독일인을 두

2025년 04월 05일

General.East.K

순환 논법의 오류

논리 오류 – 순환 논법의 오류 (Circular Reasoning Fallacy)

  순환 논법의 오류(Circular Reasoning Fallacy)는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결론을 정당화하기 위해 전제가 결론을 포함하거나 결론을 다시 전제로 삼는 방식으로 논리를 전개하는 오류이다. 이는 논증이 논리적으로 타당해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아무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순환 논법의 대표적인 특징은 자기 자신을 증명하려는 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즉, 어떤 주장(A)을 뒷받침하기 위해 근거(B)를 제시하는데, 그 근거(B)를 다시 증명하기 위해 원래 주장(A)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논리적으로 타당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 순환 논법은 특히 정치, 종교, 법률, 과학적 논쟁, 도덕적 주장 등에서 자주 발견되며, 그 오류를 인식하지 못하면 논리적으로 잘못된 결론을 받아들이게 될 위험이

2025년 04월 04일

General.East.K

도박사의 오류

논리 오류 – 도박사의 오류(Gambler’s Fallacy)

  도박사의 오류(Gambler’s Fallacy)는 확률과 통계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는 대표적인 논리적 오류 중 하나로, 과거의 사건이 미래의 확률적 사건에 영향을 미친다고 잘못 믿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특히 도박, 투자, 스포츠, 일상적인 의사결정에서 흔히 발견된다. 도박사의 오류는 “지금까지 계속 같은 결과가 나왔으니, 다음에는 반대 결과가 나올 것이다”라는 잘못된 가정에 기반을 둔다. 예를 들어, 동전을 다섯 번 던졌을 때 연속으로 앞면(Heads)이 나왔다고 해서, 다음번에는 뒷면(Tails)이 나올 확률이 더 높다고 믿는 것이 도박사의 오류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번 동전을 던질 때마다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은 항상 50%로 동일하다. 이 오류는 도박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판단에서도 자주 나타나며, 사람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