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s for category: Psychology

2025년 05월 26일

General.East.K

반동 형성

방어기제 – 5. ‘반동 형성 (Reaction Formation)’의 개념과 사례

1. 반동 형성 (Reaction Formation) 이란? ▪️ 정의: 반동 형성은 자아가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동, 감정, 욕망 등을 무의식적으로 정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전환하여 표현하는 방어기제이다. 즉, 마음속에 있는 진짜 감정을 감추기 위해, 그와 정반대의 태도를 지나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2. 반동 형성의 심리적 원리 ▪️ 발생 배경: 인간은 때때로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거나, 자신의 도덕적 기준에 반하는 충동을 경험함. 이러한 충동이 의식으로 떠오르면 불안, 죄책감, 수치심을 유발하므로, 자아는 이를 무의식적으로 억제하고, 대신 정반대의 감정이나 태도를 앞세워 나타냄. ▪️ 심리적 메커니즘 요약: 내부 충동 불안 유발 자아의 대응 사랑, 증오, 성적 욕구 등 도덕적 불안, 자존감 저하 반대 감정으로 과잉 행동 3. 구체적인

2025년 05월 23일

General.East.K

합리화

방어기제 – 4. ‘합리화 (Rationalization)’의 개념과 사례

1. 정의: 합리화(Rationalization)란? 합리화란, 자신이 실제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동기, 행동, 실패, 감정 등을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이유로 포장하여 정당화하는 방어기제. 즉, 진짜 이유(감정, 욕망, 충동)는 숨기고, 겉으로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 내는 무의식적 기제입. “나는 못한 게 아니라 안 한 거야.”→ 실패에 대한 자존감 손상을 막기 위해 만들어낸 합리적 핑계 2. 왜 합리화를 사용하는가? 합리화는 다음과 같은 심리적 목적을 가짐. 목적 설명 자존감 보호 실패나 실수로부터 자기를 방어 불안 감소 죄책감, 부끄러움, 실망감 등 불쾌한 감정에서 회피 사회적 체면 유지 외부 평가를 의식하여 자기 이미지를 유지 3. 작동 원리 단계 설명 1단계 실제 감정, 욕구, 실패 등이 생김 (예: 실연, 불합격, 실직

2025년 05월 22일

General.East.K

투사

방어기제 – 3. ‘투사(Projection)’의 개념과 사례

1. 정의: 투사(Projection)란? 투사란, 자신의 내면에 있는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 감정, 욕구 등을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전가’하여 마치 그 사람이 그런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인식하는 무의식적 방어기제. 즉, 자기 내부의 문제를 외부로 ‘비추는 거울처럼’ 왜곡함으로써 심리적 불안을 줄이려는 메커니즘. 예: 내가 누군가에게 질투를 느끼지만, 그 감정을 인정하기 어렵다면 “저 사람이 날 질투하는 것 같아”라고 생각함. 2. 왜 투사를 사용하는가? 투사는 다음과 같은 심리 상태에서 잘 나타남. 상황 설명 자기혐오 자신을 인정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욕구가 생겼을 때 불안 회피 죄책감이나 부끄러움을 느끼고 싶지 않을 때 자기방어 자존감이 위협받는 것을 막기 위해 3. 투사의 심리적 원리 과정 설명 1단계 내면에 받아들이기

2025년 05월 21일

General.East.K

부정

방어기제 – 2. ‘부정(Denial)’의 개념과 사례

심리학에서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는 자아(ego)가 불안이나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전략이다. 그중 ‘부정(denial)’은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방어기제 중 하나이다. 1. 정의: 부정(Denial)이란? 부정은 현실의 고통스러운 사실, 감정, 생각을 무의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심리적 메커니즘. 즉, 어떤 일이 실제로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그렇지 않다”고 믿고 받아들이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충격이나 고통을 피하려는 방식. 이는 현실 왜곡의 한 형태이며, 특히 너무 힘든 현실을 마주했을 때 자아가 감당하지 못해 현실 자체를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위기를 넘기려고 함. 2. 부정의 특징 특성 설명 무의식적 자신도 모르게 일어남. 의식적으로 거짓말하는 것과는 다름. 현실 왜곡 실제로 존재하는 문제나 사실을 거부함. 일시적 효과 단기적으로는 불안과 고통을 줄일 수

2025년 05월 20일

General.East.K

억압

방어기제 – 1. ‘억압(Repression)’의 개념과 사례

심리학에서의 억압(Repression)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방어기제 중 하나로, 자아가 고통스럽거나 받아들이기 어려운 생각, 감정, 욕구, 기억을 무의식 속으로 밀어넣어 의식적으로 떠올리지 못하게 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이다. 1. 억압(Repression)의 개념 ■ 정의: 억압은 불쾌하거나 위협적인 심리적 콘텐츠(기억, 감정, 충동 등)를 무의식으로 밀어넣어,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심리적 방어기제이다. ■ 특징: 무의식적으로 일어남 (자기 자신도 억압했다는 것을 모름) 의식에 떠오르면 불안, 죄책감, 수치심 등을 유발할 수 있음 억압된 내용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 속에 남아 행동, 꿈, 말실수, 신체 증상 등으로 간접적으로 드러날 수 있음 2. 프로이트 이론에서의 억압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억압을 자아(ego)가 본능(id)과 초자아(superego) 사이에서 갈등을 해결하려고 사용할 수 있는

2025년 05월 19일

General.East.K

히스테리아

히스테리아(Hysteria)의 유래와 사례

1. 히스테리아의 정의 □ 기본 개념 히스테리아는 전통적으로 의학적 원인 없이 신체적·감정적 증상이 발현되는 상태를 의미했습니다. 환자는 시각장애, 마비, 발작 등 신체 증상을 보이지만, 의학적으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 2. 역사적 기원 □ 고대 그리스 히스테리아(hysteria)는 그리스어 ‘hystera’(자궁)에서 유래. 히포크라테스는 “자궁이 몸 안을 떠돌며 문제를 일으킨다”는 이론을 주장.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질환으로 간주됨. □ 중세 히스테리아는 때때로 악령 들림, 마녀사냥과 연결됨. 여성의 감정적 불안정성과 이상 행동이 악령 또는 죄로 해석됨. □ 19세기: 정신의학적 접근 장 마르탱 샤르코(Charcot): 히스테리아를 뇌의 기능 이상으로 봄. 최면술을 치료에 활용. 지그문트 프로이트(Freud): 히스테리아는 무의식적 갈등의 결과라고 분석. 대표 사례: “안나 O”, 히스테리 증상이 무의식적 트라우마와 연결됨. 히스테리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