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2025년 05월 16일

General.East.K

판의 공포

판의 공포(Fear Pan) 에 대한 유래와 사례

1. 신화적 배경: ‘판(Pan)’ 신과 공포 ■ 누구인가? – 판(Pan) 판(Pan)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연과 목축의 신, 들판과 목자들의 수호신입니다.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염소(사티로스의 모습)를 하고 있으며, 피리를 잘 불고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묘사됩니다. ■ “판의 공포”란? 판은 때때로 숲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 사람이나 동물을 놀라게 하는 존재였습니다. 그 공포는 너무 강하고 충격적이어서 사람들이 정신을 잃거나 공포에 질려 도망치게 만드는 상태였죠. 이로부터 “Panic(패닉, 공황)”이라는 단어가 유래했습니다. ※ 즉, “판의 공포(Panic Fear)”는 갑작스럽고 설명할 수 없는 극심한 공포 상태를 의미합니다. 2. 심리학적 의미: “공황 상태(Panic State)”의 시초 현대 심리학에서의 공황(panic)은 갑작스럽고 압도적인 불안, 두려움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판의 공포”는 공황장애(panic disorder)의 어원적, 개념적 기원이 됩니다.

2025년 05월 15일

General.East.K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Pygmalion) 효과에 대한 유래와 사례

○ 피그말리온 효과란? 정의 개인에 대한 타인의 기대가 그 사람의 실제 성과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현상.즉, “누군가가 나에게 기대를 하면 그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 효과는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의 일종입니다. ○ 이름의 유래: 피그말리온 신화 그리스 신화에서 피그말리온(Pygmalion)은 자신이 조각한 여성 조각상(갈라테이아)을 사랑하게 되고, 그 사랑과 기대에 의해 조각상이 실제 여인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 강력한 기대와 믿음이 현실을 바꾼다는 상징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 심리학적 기원 ▶ 로젠탈과 제이컵슨 실험 (1968) 미국의 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Rosenthal)과 교사 레노어 제이컵슨(Jacobson)이 초등학교에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무작위로 선정된 학생들을 교사에게 “앞으로 성적이 급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우수아”라고 소개 실제로 그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상승함→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2025년 05월 14일

General.East.K

타나토스

타나토스(Thanatos)의 유래와 사례

1. 타나토스란? 정의 타나토스(Θάνατος, Thanatos)는 원래 그리스 신화의 죽음의 신이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인간의 파괴 본능 / 죽음 충동(death drive)을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됨. 2. 신화 속 타나토스 그리스어 “θάνατος” = 죽음 타나토스는 밤의 여신 뉙스(Nyx)의 아들로, 형제는 히프노스(Hypnos, 수면의 신) 죽음을 상징하지만, 잔혹한 전쟁의 아레스와는 달리 ‘조용하고 차가운 죽음’을 담당. 특징: 칼이나 검을 들고 나타나며, 생명의 실을 끊는 존재. 영혼을 하데스(저승)로 인도함. 3. 프로이트의 타나토스 – 정신분석학적 개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1920년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타나토스를 처음 이론화 함. 프로이트의 두 본능 이론 본능 설명 대응 신화 에로스(Eros) 생명 본능: 성욕, 창조, 사랑, 결합의 힘 사랑의 신 에로스 타나토스(Thanatos) 죽음 본능:

2025년 05월 13일

General.East.K

에로스

에로스(Eros)의 유래와 사례

  1. 에로스란 무엇인가? 에로스(Eros)는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사랑과 욕망의 신을 의미하며,심리학과 철학에서는 사랑, 생명력, 창조적 충동, 성적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2. 신화 속 에로스 ■ 이름: 에로스 (Ἔρως, Eros) 로마 신화에서 동일한 신은 큐피드(Cupid)라 불림. 어머니: 아프로디테(미의 여신) 상징: 활과 화살 → 맞으면 사랑에 빠짐 ■ 특징 에로스는 처음엔 원초적 창조신으로 등장하다가, 후대엔 장난기 많고 사랑을 조종하는 소년신의 이미지로 변화함. ■ 대표 이야기: 에로스와 프시케 에로스는 인간 여인 프시케(Psyche)와 사랑에 빠짐. 프시케가 그의 모습을 몰래 보자 에로스는 떠남. 프시케는 시련 끝에 신이 되어 에로스와 재결합. ◇ 의미: 사랑은 욕망 + 고통 + 성장을 통해 완성됨. 3. 심리학 속 에로스 – 프로이트의

2025년 05월 12일

General.East.K

엘렉트라 콤플렉스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의 정의와 사례

  1. 엘렉트라 콤플렉스란?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는 여아가 무의식적으로 아버지를 성적으로 사랑하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는 심리 갈등. 이 개념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여성 버전으로 이해되며, 칼 융(Carl Jung)이 1913년에 처음 사용함. 프로이트는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고, ‘여성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간주했으며 이론적으로 동의하지 않음. 2. 신화적 기원 – 엘렉트라 이야기 엘렉트라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아가멤논과 클리타임네스트라의 딸. 어머니가 아버지를 살해하자, 엘렉트라는 오빠 오레스테스와 함께 어머니를 죽여 복수. 여기서 중요한 건: 엘렉트라는 아버지에 대한 충성심과 어머니에 대한 적개심을 강하게 표현한 인물. ◆ 심리학적 상징: 아버지를 향한 감정적 집중 + 어머니에 대한 경쟁심 3. 발생 시기 및 배경 나이대 단계 설명 3~6세 남근기

2025년 05월 09일

General.East.K

오이디푸스 Oedipus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의 정의와 사례

1. 어원 및 신화적 배경 오이디푸스(Oedipus)는 그리스 신화의 비극적인 영웅이다. 이야기 요약: 예언에 따라 오이디푸스는 태어나자마자 부모에게서 버려지지만 살아남아 성장함. 운명을 모른 채 친부를 살해하고, 친모와 결혼함. 나중에 진실을 알고 어머니는 자살, 오이디푸스는 스스로 눈을 멈. 📌 이 이야기는 운명, 죄의식, 무의식적인 욕망이라는 인간의 근본적인 주제를 담고 있어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정신분석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차용하게 된다. 2. 정신분석학적 정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란? 아동이 무의식적으로 이성 부모에게 성적 애착을 느끼고, 동성 부모를 경쟁자 또는 적대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심리적 갈등 상태를 말한다. 나이대: 3세~6세 무렵, 즉 남근기(phallic stage)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봅니다. 3.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5단계 중 남근기와의 관련 단계 나이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