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2025년 04월 13일

General.East.K

루미녹스

시계 브랜드 루미녹스의 정체성, 기술, 협업, 브랜드 가치, 철학

  1. 브랜드의 탄생과 정체성 루미녹스(Luminox)는 1989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배리 코헨(Barry Cohen)과 그의 파트너 리처드 스팔딘(Richard Timbo)에 의해 설립된 시계 브랜드다. 라틴어로 ‘빛’을 뜻하는 Lumi와 ‘어둠’을 뜻하는 Nox에서 유래한 이름처럼, 루미녹스는 어떤 환경에서도 선명하게 보이는 시계를 만드는 것을 사명으로 한다. 브랜드는 처음부터 탁월한 가독성과 극한 상황에서의 신뢰성을 강조하며, 군용·전문가용 시계 시장을 타깃으로 차별화된 기술력을 쌓아왔다.   2. 루미녹스 라이트 테크놀로지(LLT) 루미녹스의 가장 큰 특징은 자체 발광 기술인 LLT(Luminox Light Technology)다. 이는 전통적인 야광 시계처럼 외부 빛을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 트리튬(방사성 동위원소) 가스를 밀봉한 마이크로 튜브를 사용하여 24시간, 최대 25년간 지속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덕분에 빛이 거의 없는

2025년 04월 13일

General.East.K

보수주의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제대로 알고 넘어가자.

  좌파? 우파? 진보? 보수? 파랑, 빨강 어쩌고 저쩌고 정신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정치는 언제나 뜨거운 감자다. 세대를 막론하고 정치에 관심을 둔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뭐가 뭔지 제대로 알고 난 뒤에 자신의 성향에 따라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현명한 처사일 것이다. 매번 정치인 들의 술수에 넘어가 이용만 당하고 버려지는 꼴은 너무 비참하지 않은가?   일단 기본 이론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말과 행동이 진정 일치하는지 따져보자. 말은 이렇게 해놓고 행동은 저렇게 해서 이득을 취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사기꾼‘이라고 부른다. 표를 달라고 외치는 그들이 진정한 정치인인지, 사기꾼인지 파악을 하고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자. 그들이 간절하게 원하는 그 1표. 이것이 우리들의 유일하고 가장 강한

2025년 04월 13일

General.East.K

보험금

손해보험의 주요 요소 2 – 보험료, 보험금, 보험가입금액, 보험가액

2. 보험의 목적과 보험계약의 목적 보험의 목적(보험에 부쳐지는 대상) : 손해보험은 보험사고 발생의 객체가 되는 물건이나 재산이, 인보험은 생명이나 신체가 보험에 부쳐진 자, 즉 피보험자가 보험의 목적이 된다 보험계약의 목적 = 피보험이익 : 보험의 목적에 대해 특정한 경제주체가 갖는 경제적 이해관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손해보험에서만 인정된다. 즉, 보험의 목적이 일실 또는 손상됨으로씨 경제적 손실을 입게되는 특정인(피보험자,과그 보험의 목적 사이에 존재하는 경제적 이해관계를 말한다. 상법은 손해보험에 있어 피보험이익을 『보험계약의 목적』 (상법 제 668조)으로 표현하고 금전으로 산정할 수 있는 이익으로 한정하고 있다.   가. 피보험이익의 요건 피보험이익의 3가지 요건 ① 적법성 : 피보험이익은 적법한 것이어야 한다. 탈세, 도박 등으로 인한 이익은 피보험이익이 될

2025년 04월 12일

General.East.K

보험자

손해보험의 주요 요소 1 – 보험자, 보험계약자, 피보험자, 보험수익자

보험계약의 관계자로는 보험계약의 직접당사자인 보험자와 보험계약자가 있고, 보험계약의 직접당사자 외의 자로는 피보험자, 보험수익자가 있다. 가. 보험회사(보험자) 보험계약자로부터 보험료를 받고 보험계약을 인수한 후 보험사고가 생긴 때에 보험금 지급의무를 지는 자 1) 보험회사의 주요 의무 보험회사가 보험 인수 후 가지는 주요의무는 다음과 같다. ① 보험약관의 교부 및 설명의무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에 보험계약자에게 보험약관을 교부하고 그 중요한 내용을 알려 주어야 하는데, 중요한 내용은 보험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보장개시일, 보험금 지급사유, 보험계약의 해지사유, 보험회사의 면책사유, 계약당사자의 권리 • 의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 Tip I 보험회사가 보험약관의 교부 및 설명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는 보험계약자는 계약이 성립한 날로부터 3개월 내에 계약을 취소할수 있음(상법 제638조의3)  

2025년 04월 12일

General.East.K

커프스링크

넥타이핀, 커프스링크의 역사, 착용법, 스타일링 팁

  1. 넥타이핀과 커프스링크의 탄생과 역사 넥타이핀과 커프스링크는 단순한 장식품이 아닙니다. 이 두 액세서리는 남성 패션의 세련됨과 실용성을 동시에 상징하는 대표 아이템입니다. 그 기원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커프스링크(Cufflinks)는 원래 셔츠 소매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던 리본과 버튼 대신 금속 장식을 사용하면서 등장했습니다. 당시 귀족 계층에서 금이나 은, 보석으로 만든 커프스링크를 착용함으로써 부와 세련됨을 과시하곤 했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대중화되었고, 현재는 포멀한 복장이나 격식 있는 자리에서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반면, 넥타이핀(Necktie Pin, 또는 Tie Bar)은 20세기 초에 등장해, 실용성과 장식성을 모두 가진 아이템으로 빠르게 퍼졌습니다. 넥타이를 가슴에 고정해 깔끔한 인상을 유지하는 기능적인 역할을 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을 완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025년 04월 11일

General.East.K

watch

남성 손목시계의 역사와 발전, 특징, 예산별 추천

남성 손목시계의 역사와 발전 남성 손목시계는 원래 군사적인 필요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말까지 남성들은 주로 회중시계를 사용했지만, 전쟁 중에는 손을 자유롭게 쓰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손목에 차는 시계가 실용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군용 시계는 병사들의 필수품이었으며, 이후 민간에서도 손목시계가 빠르게 퍼졌다. 20세기 중반, 기계식 손목시계가 정교해지고 고급화되면서 스위스 브랜드들이 명성을 얻었다. 1970년대에는 일본에서 쿼츠 시계가 등장하며 정확성과 대중성을 갖추게 되면서 시계 시장에 큰 변화가 일었다. 최근에는 스마트워치의 등장으로 기능 중심의 발전이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기계식 시계는 전통과 스타일의 상징으로 사랑받고 있다.   손목시계의 종류와 특징   기계식 시계 (Mechanical Watch) 태엽을 감아 작동시키는 시계로, 수동과 자동(오토매틱)으로 나뉜다. 오랜 역사를